소재와 디자인, 기술력에서 혁신의 선두주자인 위블로는 빅뱅과 함께 한계를 뛰어넘으며 시계의 역사를 새롭게 써 내려 가고 있다. 2025년 위블로는 브랜드를 대표하는 빅뱅 컬렉션의 20주년을 기념하며 빅뱅의 역사 속 중요한 순간들을 재해석한 5점의 애니버서리 에디션을 선보였다. 각 모델은 2005년의 첫 번째 모델과 이후 등장한 빅뱅 유니코의 상징적인 요소들을 담아, 빅뱅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잇는 기념비적인 타임피스로 완성되었다.

5종의 모델은 모두 초기 빅뱅을 연상시키는 독특한 레이어드 구조의 케이스로 재해석 되었으며, 핀치 러그와 톱니 형태의 베젤 엣지를 비롯해 빅뱅 특유의 실루엣을 보여준다. 카본 파이버를 연상시키는 양각 패턴이 새겨진 다이얼에는 아이코닉한 리벳 아라비아 숫자와 인덱스가 자리하고 있으며, 오리지널 빅뱅과 동일한 디자인에 이번에는 빅뱅 유니코처럼 슈퍼 루미노바로 채워졌다.
다이얼에는 두 개의 카운터가 있으며, 9시 방향에는 스몰 세컨즈, 3시 방향에는 크로노그래프 분 카운터가 배치되어 있다.

유니코 오토매틱 매뉴팩처 크로노그래프 무브먼트로 구동되며, 20주년을 기념하는 골드 로터로 특별함을 더했다. 초기 오리지널 빅뱅을 연상시키는 트레드 로장주 패턴(다이아몬드 형태가 반복되는 기하학적 디자인)의 구조적인 러버 스트랩은 빅뱅 유니코의 원 클릭 스트랩 교체 시스템과 결합되어 케이스에 부착되었다.
위블로 빅뱅 20주년 기념 에디션 티타늄 세라믹과 킹 골드 세라믹
티타늄 세라믹 & 킹 골드 세라믹
2005년 위블로는 “아트 오브 퓨전” 철학을 바탕으로 두 가지 버전의 빅뱅을 출시했고 이를 통해 위블로와 빅뱅은 세계적인 인정을 받았다. 빅뱅 20주년 기념 에디션은 티타늄 세라믹 500점, 킹 골드 세라믹 250점 리미티드로 출시되며, 위블로는 모든 디테일을 더욱 세밀하게 개선했다. 케이스의 직경은 43mm로 새롭게 조정되었고, 살짝 곡선형으로 디자인된 핀치드 러그가 특징이다.
폴리싱 처리된 베젤은 초기 빅뱅 모델에서 돋보였던 톱니 모양의 베젤 엣지를 다시 선보인다. 카본 패턴 다이얼은 더욱 극적인 3D 시각적 효과와 그림자 및 텍스처의 상호작용을 강조하기 위해 새롭게 디자인되었다.

레드 세라믹
세라믹은 빅뱅의 탄생과 진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특히 컬러 세라믹은 매우 다루기 어려운 소재로, 적절한 색소를 선택하고 재료의 구조적 완전성을 유지하며 색상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알맞은 압력과 온도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가 필요하다. 위블로가 자체 개발한 첫 번째 컬러 세라믹은 2018년에 공개된 레드 세라믹이었다. 위블로는 혁신의 최전선에 서게 된 첫 번째 성과를 기념하기 위해 빅뱅 20주년 기념 레드 매직 에디션을 100점 한정판으로 선보였다. 선명한 레드 세라믹과 카본 패턴 다이얼의 조합은 대담하고 독창적이며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올 블랙
컨템포러리 워치 디자인에서 위블로의 올 블랙은 혁신적인 개념으로, 디자인의 게임 체인저로 꼽힌다. 2006년 첫 번째 ‘빅뱅 올 블랙 리미티드 에디션’으로 공개된 이 대담하고 전례 없는 컨셉은 럭셔리 타임피스에서 우리가 기대해왔던 기능성이나 가독성을 뛰어넘어 “보이지 않는 가시성”이라는 대담한 개념을 제시했다. 빅뱅의 20주년을 맞아 위블로는 이번에도 이 도전적인 개념을 새로운 빅뱅 20 주년 기념 올 블랙 에디션으로 재해석했다. 매트 및 폴리시드 블랙 세라믹으로 제작된 직경 43mm 케이스는 블랙 카본 패턴 다이얼과 결합되었는데, 이는 빅뱅 올 블랙 모델에서는 처음으로 선보이는 조합으로 500점 한정판이다.

매직 골드
위블로의 최초의 첨단 소재 분야 진출 중 하나인 매직 골드는 그 이름에 걸맞은 혁신적인 소재다. 2011년 세계 최초이자 유일한 스크래치 방지 18K 골드 합금으로 발표된 매직 골드는 위블로 R&D 부서가 추구하는 핵심 가치를 나타낸다. 위블로 매뉴팩처에서 개발되고 자체 주조소에서 생산된 매직 골드는 마치 과학 소설에서 나올 법한 소재입니다. 100점 한정판인 빅뱅 20주년 기념 매직 골드 에디션은 독특한 18K 골드 합금과 카본 패턴 다이얼, 골드 색상의 핸즈와 마커를 결합하여 톤과 텍스처의 완벽한 미래지향적인 조화가 돋보인다.
Editor: Lee Eun Kyong